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1

반려견 동물등록 자진신고 신청방법, 대상, 기간 등 총정리(미신고 과태료부과) 시민들의 동물등록을 강화하기 위해서 8월 7일부터 9월 30일까지 동물 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규로 동물등록을 하거나 기존 등록 정보 중에 변경된 정보를 신고하는 기간인데요, 이 기간에 신고된 동물들은 미등록, 미신고로 과태료를 면제하오니 아래의 내용을 확인하시어 9월 30일까지 자진신고 바로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대상 주택, 준주택에서 기르거나 반려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의 개로, 이미 등록했더라도 동물의 소유자나 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동물의 상태(유실, 되찾음, 사망) 등 변경된 경우에도 반드시 신고하여야 합니다. (고양이도 등록가능하나, 법적 의무 등록대상은 아닙니다) 자진신고기간 2023.8.7.~9.30.일 까지로, 동물등록은 동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날 또는 동물의 .. 2023. 9. 10.
가정양육수당 지원대상, 신청방법, 금액 알아보기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가정 양육을 할 때,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정부에서는 가정양육수당이라는 것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가정양육수당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이용시와 다른 지원금을 받기 때문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원대상 어린이집, 유치원(특수학교 포함)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영유아로서 초등학교 미취학 86개월 미만 아동 * 자녀의 보육상황에 따라 서비스 변경신청을 하여 지원 받으셔야 합니다. 선정기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해당자면 모두 지원하며, 초등학교 취학 연도 2월까지 지원하며 최대 86개월 미만 아동을 지원합니다. * 부모급여 도입에 따라 2022년 이후 출생아는 만 2세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 지원금액 월령별로 10~20만원/인당 .. 2023. 9. 10.
2023년 상반기분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지원자격, 금액 등 완벽정리 저소득 가구의 근로를 장려하고 경제적 자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9월 1일부터 15일까지 2023년 상반기분 근로소득에 대한 근로장려금을 신청받습니다. 약 146만명이 상반기 근로소득이 있는 신청대상이라고 하는데요, 이 근로장려금에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대상 가구요건에 따른 소득, 재산요건을 모두 충족한 근로소득만 있는 가구여야만 합니다. (가구요건) 근로장려금은 1가구에 1명만 신청가능하며, 배우자, 부양가족 유무에 따라 단독, 홀벌이, 맞벌이 가구로 구분 (소득요건) 2022년 부부합산 총소득(근로, 사업, 종교인소득 및 이자, 배당, 연금, 기타소득 포함)이 아래 기준금액 미만이면 신청 가능 * 2023년 부부합산 근로소득이 아래 기준금액 이상이면, 근로장려금 미지급 - 20.. 2023. 9. 9.
서울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확대 최대110만원 신청방법, 자격 총정리(소득기준폐지) 난임시술은 시술당 150~400만원까지 들어, 기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은 중위소득 180%이하라는 기준이 있어 대부분 제외돼 휴직이나 포기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에서는 2023.7.1일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난임부부에게 시술비를 확대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소득 기준뿐만 아니라 시술종류와 상관없이 총 22회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난임지원 확대계획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난임부부 지원 확대 내용 서울시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하여야 합니다. ①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 폐지 ㅤ- (기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 모든 난임부부 확대 ② 난임 시술 간 횟수 제한 칸막이 폐지 ㅤ- (기존) 신선배아 10회, 동결배아 7회, 인공.. 2023.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