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대 출현 사례가 많아지면서 빈대 신고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서울시에서는 빈대 발생 신고부터 방제까지 지원하고 호텔, 숙박시설 등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빈대 제로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시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빈대 발견시 신고할 수 있는 신고센터 운영, 호텔 숙박시설, 목욕장, 찜질방 등 점검을 함으로써 자율방역을 추진하고, 빈대정보 웹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빈대란?
피를 빨아 생명을 유지하는 불쾌곤충으로 전 세계에서 발견되며, 감염병을 옮기지는 않으나 낮에 가구, 침대, 벽 틈 등에 숨어 있다가 주로 잠자는 동안 노출된 피부를 물어 붉은 반점,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물렸을 때 증상, 치료방법
증상
물린 후 발진(붉은 반점)과 가려움증이 빠르면 1시간, 늦으면 14일 이후 나타나며 1~5일간 지속됩니다.
치료방법
일반적으로 치료없이 1~2주 내에 회복하나, 빈대가 분비하는 타액으로 인해 아나필락시스(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알러지 반응)가 드물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해당부위를 긁지말고, 가려움증과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증상에 따른 치료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도포 등 의사 처방에 따라야합니다)
빈대 체크리스트
빈대예방수칙
예방
- 빈대에 오염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물품(중고가구, 낡은책, 옷, 여행용 가방 등) 함부로 집안으로 옮기지 않기
- 해외 여행자의 옷, 여행용품에 빈대 또는 빈대의 흔적을 주의 깊게 확인하기
- 갈라진 틈, 벽지 등 집안의 손상된 부분을 수리하여 빈대 서식처 최소화 하기
청소
- 진공청소기(헤파필터)를 이용하여 수시로 침대 매트리스와 실내공간 청소하기
* 진공청소기 내용물은 비닐 봉투에 밀봉하여 즉시 폐기
- 옷과 침구류는 고온 세탁 및 건조 후 필요 시 다림질하여 비닐 봉투에 밀폐, 보관
- 빈대에 감염된 옷이나 침구는 비닐 봉투에 담아 밀봉하여 폐기
- 여행용 가방은 대형 비닐 봉투에 넣고 가정용 에어로졸 살충제를 가방 내외부에 수차레 분사한 후 밀폐하여 보관하기(2~3일)
- 빈대를 발견한 경우, 테이프로 신속하게 포획하거나 휴지 등을 이용하여 눌러죽임
방제
- 살충제에 장시간 접촉할 수 있도록 서식장소에 살충제를 뿌리는 것이 효과적
(환경부 승인 제품을 사용하고 개인보호구 착용 및 사용법 준수)
- 침실내 벽 틈, 문과 창문틈, 가구 틈, 침대 등 집중 분무
빈대 신고센터(웹페이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빈대 관련 웹페이지입니다. 아래의 주소로 접속하시어 관련 정보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감염병연구센터
서울시 시민건강국 감염병연구센터입니다.
sidrec.go.kr
아래의 주소로 통하여 빈대 신고센터에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감염병연구센터
서울시 시민건강국 감염병연구센터입니다.
sidrec.go.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간, 휴일에도 진료하는 병원 찾는방법-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이용 (0) | 2023.11.09 |
---|---|
조달청 나라장터 물품 품명 및 세부품명 확인 방법 및 신설 내용 확인하기 (0) | 2023.11.07 |
지방세(서울시) 스마트폰 체납안내, 납부서비스 이용방법 알아보기 (0) | 2023.11.02 |
품질시험실 이화학 시험 이용 안내(민원시험 의뢰 가이드, 매뉴얼, 주의사항) (0) | 2023.11.02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병원 및 신청방법, 입원기준 등 알아보기 (0) | 2023.10.31 |